통합검색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멀티미디어관 > 동영상 > 유물유적
UCI :
G001+KR00-IPA.061208.D0.AA400000062
스크랩주소 :
http://www.cybernk.net/common/MovPopup.aspx?mid=A400000062
내부조회수 :
78
/ 외부조회수 :
8
스크랩수 :
0
*
칠릉떼(보존급 제528호)
칠릉떼(보존급 제528호)
칠릉떼(七陵群) 국가지정문화재보존급 제528호 황해북도 개풍군 해선리에 있는 옛 무덤. 만수산 기슭에 7기의 고려시대 고분들이 동서로 나란히 인접하여 있다.
이 고분의 주인이 누구인지는 아직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못하고 있으나 왕 또는 왕족의 것으로, 그 축조시기는 대체로 고려 말기로 추정되고 있다.
서쪽에서 동쪽으로 1릉부터 7릉까지 순번으로 호칭한다. 이 7기의 능은 구조적으로 다 비슷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3릉의 경우 고분구역은 3개의 층단으로 축조되었다.
1단에는 고분무지가 있고 그 주위에 석조로 된 난간을 돌리고 석조짐승조각을 배치하였으며 그 앞에 망주석, 상돌 등을 배치하였다. 무덤무지의 크기는 높이 2.4m, 직경 7.6m이다. 무덤무지에 돌린 석조병풍에는 12지신상과 구름무늬 등을 섬세하게 조각했다.
2단에는 한 쌍의 문인상과 석등이 있고 3단에도 문인상 한 쌍이 조각되어 있다. 아래에는 정자각터가 있다. 이러한 무덤구역 설정과 시설물배치제도는 고려시대의 특징적인 무덤형식으로서 조선시대에도 그대로 이어진다.
이 고분은 공민왕릉과 거의 비슷한 건축 및 장식수법을 이용하고 있다. 고분이 일정한 지역 내에 밀집되어 있는 것은 친연성을 가진 여러 기의 무덤들을 한데 집중 안치하던 전시기 장법을 계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3릉구역의 조각물 중 무인상이 없고 문인상만 두 쌍이 배치된 것은 무덤주인공의 기호와 관련된 것이라는 설도 있고, 장법에서 어떤 새로운 변천을 시사해주는 것이라는 설도 있다.
검색
번호
제목
위치
조회수
460
가학루 (駕鶴樓, 국보급 제103호)
강원도>안변군>안변읍
149
459
갈산온천유적 (보존급 제1769호)
강원도>판교군>구당리
108
458
감신무덤 (보존급 제66호)
평안남도>남포시>와우도구역>신령리
98
457
강계망미정 (江界望美亭, 국보급 제65호)
자강도>강계시>부창동
116
456
강계아사 (江界衙舍, 국보급 제66호)
자강도>강계시>북문동
120
455
강계읍성 (江界邑城, 보존급 제189호)
자강도>강계시
123
454
강릉 (康陵, 보존급 제567호)
황해북도>개성시
142
453
강선루터 (降仙樓~, 국보급 제57호)
평안남도>성천군>성천읍
116
452
개성남대문(開城南大門, 국보급 제124호)
황해북도>개성시>북안동
301
451
개심동 고인돌(보존급 제1038호)
황해북도>연탄군>미산리
111
450
개심사(국보급 제120호) 관음전
함경북도>명천군>보촌리
136
449
개심사(국보급 제120호) 대웅전
함경북도>명천군>보촌리
149
448
개심사(국보급 제120호) 만세루
함경북도>명천군>보촌리
87
447
개심사(국보급 제120호) 산신각
함경북도>명천군>보촌리
89
446
개심사(국보급 제120호) 심검당
함경북도>명천군>보촌리
83
Total
31
Page
1
2
3
4
5
6
7
8
9
10
선택해주세요
재외동포재단
중앙일보북한네트워크
한국정보화진흥원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저작권정책
개인정보보호정책
위치 및 연락처
관리자에게
배너및뷰어
[우]122-834 서울시 은평구 녹번동 161-5 역촌빌딩 5층 TEL: (02)358-0612~5 FAX: (02)384-1924
Copyrightⓒ 2008 by 평화문제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북한지도
-
행정지도
-
자연지도
-
시가도
이미지
-
행정구역
-
자연·지형·지물
-
동식물
-
천연기념물
-
특산물
-
교육·학술·연구
-
산업·경제
-
도로·교통
-
문화·예술
-
체육
-
의료·보건
-
종교
-
유물유적
-
인물
-
민속
동영상
-
천연기념물
-
유물유적
-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