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관
조회할 행정구역 선택
북한지역정보넷
도,직할시
시,군,구역
동,리,읍
북한지역정보넷
- 강원도 안변군
 
행정구역관카테고리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강원도>안변군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UCI :
스크랩주소 :
내부조회수 : / 외부조회수 :
스크랩수 :
북한지역정보넷 강원도 안변군 개요
강원도 북동부에 있는 군. 동부는 통천군, 남부는 회양군, 서부는 고산군ㆍ법동군, 북서부는 원산시와 접해 있으며 북부는 동해에 면해 있다. 북서(용성리)~남동(내산리) 간의 길이는 35km이고, 북동(과평리)~남서(모풍리) 간의 너비는 18km이며, 군 면적은 약 500㎢로서 도 전체면적의 약 4.5%를 차지한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2구 28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안변읍이다.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강원도 안변군 지도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봉산리 봉산각
봉산리 봉산각
스크랩하기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봉산리 봉산각
 
1 /1 ( 현 페이지 / 총 페이지 )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강원도 안변군 지명유래
1018년에 등주를 안변도호부로 개편하였다. ‘안변’은 안정된 변방이라는 뜻에서 지은 이름이다. 1895년에 안변군으로 되었다. 고구려시기에는 이 일대를 비렬홀 또는 천성군이라고 불렀다. ‘비렬’은 ‘이리’라고도 읽을 수 있는데 ‘이리’는 우물을 의미하는 말이었다. 그러므로 비렬홀은 우물이 있는 성, 우물이 있는 고을이라는 뜻이며, ‘천성’은 샘우물이라는 뜻이다. 통일신라 때에는 비렬홀을 비렬주로 개칭하였다. 비렬주나 비렬홀은 서로 뜻이 같은 말이다.

757년에 비렬주는 삭정군으로 되었는데 ‘삭정(朔庭)’은 ‘새들’을 한자로 표기한 이름이다. ‘새들’은 북쪽들판이라는 말이다. 고려 초에 삭정군은 등주로 되었는데 새들마을을 의미한다. 안변군은 삭방, 삭안이라고도 불렀는데, 삭방(朔方)은 북쪽지방이란 말이고 삭안(朔安)은 북쪽에 있는 안정된 고을이라는 말이다.
 
북한지역정보넷 강원도 안변군 역사
안변군 지역에서 발굴된 유물유적들은 오래 전부터 안변군 지역에 사람이 정착해 살았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고구려시기에 비렬홀군(比列忽郡) 또는 천성군(淺城郡)이라 하였다. 신라 진흥왕시기에 이르러 신라의 영토로 되어 비렬주(比列州)를 설치하였으며 757년(경덕왕 16년)에 삭정군(朔庭郡)으로 개칭하였다. 고려왕조가 건립된 이후 920년(태조 3년)에 등주(登州)로 개칭하였다가, 그 후 1018년(현종 9년)에 안변도호부(安邊都護府)로 개칭하였다.

조선시대에 여러 차례 도호부에서 대도호부로 승격 또는 강등을 거듭하다가, 1872년에 이르러 함경도 안변군으로 되어 세청사(世淸社), 영춘사(永春社), 신리사(新里社), 모치사(茅峙社), 위익사(衛益社), 문산사(文山社), 방화산사(訪花山社), 서곡사(瑞谷社), 영풍사(永豊社), 사동사(巳洞社), 상도사(上道社), 하도사(下道社), 학포사(鶴浦社) 등 13개 사를 관할하였다. 1895년에 부·군제를 실시하면서 함흥부 안변군으로 되었으며 그 이듬해인 1896년에 13도제를 실시하면서 함경남도 안변군으로 되어 세청면(世淸面), 영춘면(永春面), 신리면(新里面), 상도면(上道面), 하도면(下道面), 서곡면(瑞谷面), 모치면(茅峙面), 방화산면(訪花山面), 위익면(衛益面), 문산면(文山面), 배양면(培養面) 등 11개 면을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에 신리면 일부·영춘면·세청면을 병합하여 학성면(鶴城面)으로, 상도면·하도면 일부를 병합하여 안도면(安道面)으로, 방화산면 일부·배양면 일부·하도면 일부를 병합하여 배화면(培花面)으로, 모치면·신리면 일부를 병합하여 신모면(新茅面)으로 각각 개편하고 방화산면 나머지를 문산면에, 배양면 나머지를 서곡면에 각기 편입하여 학성면, 안도면, 서곡면, 신모면, 문산면, 위익면, 배화면 등 7개 면을 관할하였다. 1930년에 학성면이 안변면(安邊面)으로 개칭되었다. 안변군 지역은 오랫동안 함경남도에 속해 있다가, 광복 후인 1946년 9월에 강원도에 편입되었다. 이때 위익면이 신고산면(新高山面)으로, 문산면이 석왕사면(釋王寺面)으로 각각 개칭되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신고산면의 3개 리가 새로 나오는 세포군에, 신고산면의 41개 리와 석왕사면의 38개 리가 새로 나오는 고산군에 각각 편입되었고, 남은 안변면·신모면·안도면·배화면·서곡면의 전체 리와 석왕사면의 2개 리·통천군 흡곡면의 6개 리·원산시의 3개 리들을 병합하여 1읍 31 리로 개편하였다.

즉 안변군 안변면의 영춘리·옥리·홍문리·과남리·석교리·문외리·문내리·학성리·비운리를 병합하여 안변읍(安邊邑)으로, 안변군 안변면의 미현리·신모면의 별하산리를 병합하여 미현리(美峴里)로, 안변군 안변면의 탑리·두득리·강서리를 병합하여 중앙리(中央里)로, 안변군 안변면의 조전리·송전리를 병합하여 남계리(南溪里)로, 안변군 안변면의 상화산리·규운리·석왕사면의 하룡운리·상룡운리를 병합하여 규운리(奎運里)로, 안변군 배화면의 신기리·수항리·안변면 곽하리·송학리를 병합하여 학천리(鶴川里)로, 안변군 배화면의 용연리·수려리·천양리를 병합하여 천삼리(泉三里)로, 안변군 배화면의 방교리·한사리·방화리·풍상리·풍하리를 병합하여 풍화리(豊花里)로, 안변군 배화면의 동대리·수악리·낙천리를 병합하여 수락동리(秀樂東里)로, 안변군 배화면의 송산리·어은리·해천리·문봉리·내원리를 병합하여 배화리(培花里)로, 안변군 안도면의 명곡리·비산리 각 일부를 병합하여 비산리(比山里)로, 안변군 안도면의 중평리·장현리·미득리·용운리·상덕리 일부를 병합하여 과평리(果坪里)로, 안변군 안도면의 오천리·오계리·가평리를 병합하여 오계리(梧溪里)로, 안변군 안도면의 어운리·하와리·대와리·비산리 일부·명곡리 일부·상덕리 일부를 병합하여 육화리(六和里)로, 안변군 안도면의 낭성리·월포리·입석리를 병합하여 월랑리(月浪里)로, 원산시의 지경리·안변군 배화면의 신리·지경리·송강리·옥천리를 병합하여 배양리(培養里)로, 원산시의 사둔리·포평리·안변군 배화면의 하사고리·상사고리를 병합하여 사평리(沙坪里)로, 안변군 서곡면의 대대리·용상리·학익리·용현리·계산리를 병합하여 용대리(龍垈里)로, 안변군 서곡면의 중남리·하남리·하일리·한천리를 병합하여 남천리(南川里)로, 안변군 서곡면의 석방리·상남리·성우리·율리·용평리를 병합하여 용성리(龍城里)로, 안변군 서곡면의 동산리·포리를 병합하여 동포리(東浦里)로, 안변군 서곡면의 후리·계자리·사리·마우리를 병합하여 칠봉리(七峯里)로, 안변군 서곡면의 보성리·오리·주암리·수암리를 병합하여 주암리(珠巖里)로, 안변군 서곡면의 상리·중리·광자리를 병합하여 상자리(上自里)로, 안변군 서곡면의 창리·능리·수성리·상일리를 병합하여 수상리(水上里)로, 안변군 신모면의 차산리·천내리를 병합하여 내산리(內山里)로, 안변군 신모면의 판기리·상다전리·하다전리를 병합하여 삼성리(三星里)로, 안변군 신모면의 공수전리·금천리·문곡리·덕산리를 병합하여 문수리(文須里)로, 안변군 신모면의 하령리·상령리·신곤리를 병합하여 영신리(靈新里)로, 안변군 신모면의 신성리·석변리·모창리·이원리·용포리·양명리를 병합하여 신화리(新和里)로, 안변군 신모면의 양지리·내원산리·두남리·효자리·어지리·율리를 병합하여 모풍리(茅豊里)로, 안변군 안도면 상마리·통천군 흡곡면의 상음리·신양리·합진리·연동리·신곡리·하동리를 병합하여 상음리(桑陰里)로 각각 개편하였다.

1954년 10월 안변읍의 일부 지역이 중앙리에 편입되었고, 또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옥리(玉里)를 복귀하였다. 또한 육화리 일부 지역이 학천리에, 월랑리 일부 지역이 사평리에, 영신리 일부 지역이 내산리와 삼성리에, 신화리 일부 지역이 영신리에 각각 편입되었고, 과평리 일부 지역으로 중평리(中坪里)를, 배화리 일부 지역으로 송산리(松山里)를 복귀하였으며, 배양리 일부 지역으로 봉산리(烽山里)를 신설하였다. 1963년 11월 규운리가 화산리(花山里)로 개칭되었고, 1967년 10월에 주암리가 칠봉리에 편입되었으며, 용대리가 용대노동자구(龍垈勞動者區)로 승격하였다. 1972년에 중앙리를 앞강노동자구로 개칭하였고, 1984년에 남천리, 수상리, 상자리, 칠봉리를 원산시에 편입하였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안변읍), 2구(용대노동자구, 앞강노동자구), 28리(과평리, 남계리, 내산리, 동포리, 영신리, 용성리, 육화리, 모풍리, 문수리, 미현리, 배양리, 배화리, 봉산리, 비산리, 사평리, 삼성리, 상음리, 송산리, 수락동리, 신화리, 오계리, 옥리, 월랑리, 중평리, 천삼리, 풍화리, 학천리, 화산리)로 구성되어 있다. 안변군 소재지는 안변읍이다.
 
 
 
북한지역정보넷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개관
    - 개요
    - 자연
    - 경제
    - 교통
    - 문화
옛이름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