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관
조회할 행정구역 선택
북한지역정보넷
도,직할시
시,군,구역
동,리,읍
북한지역정보넷
- 함경북도 길주군
 
행정구역관카테고리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함경북도>길주군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UCI :
스크랩주소 :
내부조회수 : / 외부조회수 :
스크랩수 :
북한지역정보넷 함경북도 길주군 개요
함경북도 남쪽에 위치해 있는 군. 북쪽은 명간군ㆍ어랑군, 남쪽은 김책시ㆍ화대군, 동쪽은 명천군ㆍ화대군, 서쪽은 양강도 백암군과 함경남도 단천시와 접해 있다. 동서(금송리~용담노동자구) 간의 길이는 34km이고, 남북(청암리~풍계리) 간의 길이는 40km이며 면적은 1,032여 ㎢로서 도 전체면적의 6.1%를 차지한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5구 22리로 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길주읍이다.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함경북도 길주군 지도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함경북도 길주군 지명유래
1107년(고려 예종 2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북방지역 개척 당시 외적을 물리치기 위하여 성을 축조하여 길하게 된, 즉 살기 좋은 고장으로 된 고을이라는 뜻에서 길주라 하였다. 옛날에는 궁한촌(弓漢村)이라 하였으며 해양(海洋) 또는 삼해양(三海洋)이라고도 하였다. 해양은 바다를 낀 양지바른 곳을 의미하는데 오늘의 길주, 김책, 명천, 화대 등 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북한지역정보넷 함경북도 길주군 역사
함경북도에서 역사가 가장 오랜 군의 하나로서 주변 지역에서 구석기시대로부터 신석기시대에 이르는 유적, 유물들이 발굴된 사실로부터 원시시대에 이미 인류가 살고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문헌기록에 의하면 길주군 지역에 숙신(肅愼), 읍루(挹婁), 예맥(濊貊), 옥저(沃沮), 부여(扶餘) 등 여러 부족국가가 있었으며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의 영토로 되어 있었다. 고구려가 패망한 후 699년 고구려 유민들에 의해 발해국이 세워졌을 때 길주군 지역은 동경용원부(東京龍原府) 소속으로 되었다. 926년(태조 9년) 발해가 거란에 의하여 패망해서부터 수세기 동안 길주군 지역은 줄곧 거란·금·원·명 등 외적의 예속 하에 있었다.

고려 말기에 이르러 길주군 지역에 오랫동안 도사리고 있던 여진을 두만강하구에까지 몰아내고 영역을 확장하였으며, 1390년(공양왕 2년)에 해양 또는 삼해양이라 칭하던 이곳 지명을 처음으로 길주라고 개칭하고 영주(英州)·선화(宣化) 등 진을 통합하여 만호부(萬戶府)를 설치하였다.

조선 초기인 1398년(태조 7년) 동북면(東北面)의 지역을 개편하면서 길주목(吉州牧)으로 승격되었다가 이시애(李施愛)의 난(亂)으로 하여 1469년(예종 1년)에 길성(吉城)으로 개명되어 현으로 강등되는 한편 영평령 이북을 분리하여 명천현(明川縣)을 신설하였다. 1512년(중종 7년)에 다시 두 현을 통합하여 목사(牧使)와 판관을 두었다가 이듬해인 1513년(중종 8년)에 다시 명천현을 복귀시켰다. 1605년(선조 38년)에 길주군 지역에 방어사(防禦使)를 설치하였다가 1701년(숙종 27년)에 방어영(防禦營)을 성진(城津)으로 옮겼다.

1895년(고종 32년)에 23부제를 실시하면서 경성부(鏡城府) 길주군으로 되었으며, 1896년(건양 1년)에 다시 13도제를 실시하면서 함경북도에 귀속되어 길성(吉城), 덕산(德山), 동해(東海), 양사(陽社), 영북(營北), 웅평(雄坪), 장백(長白)등 7개 면을 관하에 두었다. 1898년에 길주군의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성진군(城津郡)을 신설하였고, 1939년에 길성면(吉城面)과 영북면(營北面)을 병합하여 길주읍으로 승격하여 1읍 5면 54동을 관할하였다. 1943년에 길주군이 길성군(吉城郡)으로 개칭되면서 길주읍도 길성읍(吉城邑)으로 되었고, 1946년에 길성군이 다시 길주군으로 개칭되면서 길성읍이 길주면(吉州面)으로 강등되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전 길주군의 길주면·장백면·덕산면·웅평면의 전체 리와 양사면의 3개 리를 통합하여 길주군을 다시 구성하여 길주면의 길남리·영남리와 영기리·길북리 일부를 병합하여 길주읍(吉州邑)을, 길주면의 표봉리·금송리를 병합하여 온천리(溫泉里)를, 웅평면의 용남리와 남양리 일부, 동해면의 산성리 일부를 병합하여 용성리(龍城里)를, 덕산면의 도목리와 지산리를 병합하여 청암리(靑岩里)를, 장백면의 신독리 일부와 양사면의 신풍리·장흥리를 병합하여 풍계리(豊溪里)를 각각 신설하고, 길주면의 영기리·영북리와 봉암리 일부, 장백면의 주남리 일부를 병합하여 영기리(營基里)로, 길주면의 유천리·홍수리와 길북리 일부를 병합하여 유천리(柳川里)로, 길주면의 쌍룡리와 용천리를 병합하여 쌍룡리(雙龍里)로, 길주면의 봉암리와 영북리 일부를 병합하여 봉암리(鳳岩里)로, 웅평면의 탑양리와 백원리를 병합하여 탑양리(塔陽里)로, 웅평면의 상하리·내포리·백탑리를 병합하여 상하리(上下里)로, 웅평면의 남일리·남이리와 남양리 일부를 병합하여 남양리(南陽里)로, 덕산면의 대동리와 일신리 일부를 병합하여 일신리(日新里)로, 덕산면의 덕신리·위남리와 일신리 일부를 병합하여 덕신리(德新里)로, 덕산면의 문암리·양동리를 병합하여 문암리(門岩里)로, 덕산면의 금천리와 신탑리를 병합하여 금천리(錦川里)로, 장백면의 주남리와 도화리 일부를 병합하여 주남리(洲南里)로, 장백면의 평륙리와 도화리·용담리 각 일부를 병합하여 평륙리(坪六里)로, 장백면의 회남리와 임동리를 병합하여 임동리(林洞里)로, 장백면의 상팔리와 용담리 일부를 병합하여 용담리(龍潭里)로, 장백면의 십일리와 목성리 일부를 병합하여 십일리(十一里)로, 장백면의 십사리와 신동리 일부를 병합하여 신동리(新洞里)로, 장백면의 목성리 일부와 영호리를 병합하여 목성리(木城里)로, 장백면의 합포리를 길주군 합포리(合浦里)로, 양사면의 춘흥리를 길주군 춘흥리(春興里)로 각각 개편하여 1읍 24리를 관할하다가 후에 영기리가 영북노동자구로 승격되었다.

1953년에 문암리 일부가 금천리에 편입되었고, 유천리 일부 지역이 영북노동자구(營北勞動者區)에 흡수되었다. 1954년에 길주읍과 유천리 각 일부를 병합하여 홍수리(紅繡里)를, 온천리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금송리(金松里)를 각각 복귀하였고, 유천리 일부를 길주읍에, 영북노동자구 일부를 유천리에, 주남리 일부를 평륙리에, 탑양리 일부를 상하리에, 신동리 일부를 목성리에 각각 편입하였다. 1967년 10월에 용담리가 노동자구로, 1972년 11월에 주남리가 노동자구로, 1981년 2월에 일신리가 노동자구로 각각 승격되었고 1991년 9월에 길주읍의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영남노동자구(營南勞動者區)를 신설하였으며, 1996년에 상하리를 백원리(白元里)로 개칭하였다.

2002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길주읍), 5구(용담노동자구, 영남노동자구, 영북노동자구, 일신노동자구, 주남노동자구), 22리(금송리, 금천리, 남양리, 덕신리, 용성리, 유천리, 임동리, 목성리, 문암리, 백원리, 봉암리, 신동리, 십일리, 쌍룡리, 온천리, 청암리, 춘흥리, 탑양리, 평륙리, 풍계리, 합포리, 홍수리)로 되어 있다. 길주군 소재지는 길주읍이다.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문암리고인돌 국가지정문화재 보존급 제439호
문암리고인돌 국가지정문화재 보존급 제439호
스크랩하기
 
1 /4 ( 현 페이지 / 총 페이지 )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말기산성(末期山城, 보존급 제344호)
* 말기산성(末期山城, 보존급 제344호)
 
1 /1 ( 현 페이지 / 총 페이지 )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개관
    - 개요
    - 자연
    - 경제
    - 교통
    - 문화
옛이름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