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관
조회할 행정구역 선택
북한지역정보넷
도,직할시
시,군,구역
동,리,읍
북한지역정보넷
- 황해북도 수안군
 
행정구역관카테고리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황해북도>수안군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UCI :
스크랩주소 :
내부조회수 : / 외부조회수 :
스크랩수 :
북한지역정보넷 황해북도 수안군 개요
황해북도 북동부에 있는 군. 북부는 연산군ㆍ신평군, 동부는 곡산군, 남부는 신계군, 서부는 연탄군ㆍ서흥군과 잇닿아 있다. 북동~남서(평원리~상덕리) 간의 길이는 41km이고, 북서~남동(수안읍~석교리) 간의 길이는 27km이며, 면적은 665.51㎢로서 도 전체면적의 7.03%를 차지한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1구 17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수안읍이다.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황해북도 수안군 지도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수안군 용현혁명사적지
수안군 용현혁명사적지
스크랩하기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수안군 용현혁명사적지
 
1 /1 ( 현 페이지 / 총 페이지 )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황해북도 수안군 지명유래
수도와 상거한 곳에 있는 산세가 험하고 깊숙한 산간 지방이기 때문에 외적의 침습과 동란의 영향을 받지 않고 편안하게 마음놓고 살수 있는 고을이라 하여 수안이라 하였다 한다. 수안은 원래 장새, 고소어, 수주, 요산, 장률 등으로 불렸다.
 
북한지역정보넷 황해북도 수안군 역사
수안군 지역에서는 아직까지 원시사회의 유적유물이 발굴되지는 않았지만 주변 지역에서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의 유적유물이 발굴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수안군 지역에서도 이 시기에 사람이 살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시대에 수안군 지역은 고구려의 판도에 속해 있으면서 고소어(古所於) 또는 장새(獐塞)로 불렸으며 통일신라 때에는 장새현으로 편성되어 한때 서암군(栖巖郡)에 속해 있었다.

고려 초에 처음으로 수안이라는 현재의 지명을 사용하였다. 1018년(현종 9년)에 곡주(谷州)의 속현(屬縣)으로 수안현이 되었다. 1270년에 한때 원나라의 손아귀에 들어 동녕부(東寧府)에 소속되어 있다가 다시 고려에 수복되었다. 1310년(충선왕 2년)에 수주(遂州)로 승격되었다. 조선왕조가 들어선 이후 1417년(태종 17년)에 다시 수안군으로 되었다.

1871년에 수안군 관하에 대포방(大浦坊), 공동방(公洞坊), 연암방(延岩坊), 소내곡방(小內谷坊), 대천방(大千坊), 율계방(栗界坊), 서부방(西部坊), 성동방(城洞坊), 도동방(道洞坊), 수구방(水口坊), 오동방(梧洞坊), 동부방(東部坊), 천곡방(泉谷坊) 등 13방 38리가 설치되어 있었다. 1895년에 개성부(開城府) 수안군(遂安郡)으로 되면서 대평방(大坪坊)을 새로 설치하여 14개 방을 관할하다가, 1896년에 황해도 수안군으로 되면서 방을 면으로 개편하여 동부면(東部面), 서부면(西部面), 소내면(小內面), 대포면(大浦面), 공동면(公洞面), 성동면(城洞面), 도동면(道洞面), 대평면(大坪面), 오동면(梧洞面), 천곡면(泉谷面), 수구면(水口面), 연암면(延岩面), 대천면(大千面), 율계면(栗界面) 등 14개 면을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에 동부면과 서부면을 병합하여 읍내면(邑內面)으로, 도동면과 소내면을 병합하여 도소면(道所面)으로, 공동면과 대포면을 병합하여 공포면(公浦面)으로 각각 개편하였고, 1929년에 읍내면을 수안면(遂安面)으로 개칭하였다.

1939년에 성동면과 대평면의 일부를 병합하여 대성면(大城面)으로, 대천면의 일부와 오동면의 일부를 병합하여 대오면(大梧面)으로 각각 개편하고 대평면의 나머지 일부를 수안면에, 대천면의 나머지 일부를 연암면에, 오동면의 나머지 일부를 천곡면과 수안면에 각각 편입하여 1943년에 이르러 수안군은 수안면, 도소면, 공포면, 대성면, 대오면, 천곡면, 율계면, 연암면, 수구면 등 9개 면을 관할하였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도소면·수구면·연암면·공포면의 전체 리와 대오면의 6개 리는 연산군에, 율계면의 6개 리는 연탄군에 각각 편입하고 나머지 수안면·천곡면·대성면의 전체 리와 율계면의 3개 리, 대오면의 6개 리, 신계군 사지면의 4개 리, 서흥군 구포면의 1개 리를 병합하여 황해도 수안군을 새로 구성하였는데, 이때 수안군 수안면의 창후리·석교리·용담리·소촌리를 병합하여 수안읍(遂安邑)으로, 수안면의 수류리·괴엽리·하오리를 병합하여 용포리(龍浦里)로, 수안면의 수촌리·자의리·용정리·옥현리를 병합하여 서평리(西坪里)로, 수안면의 외암리와 하유리를 병합하여 천암리(泉岩里)로, 율계면의 당치리·시래리·웅동리를 병합하여 신대리(新垈里)로, 대성면의 위라리·좌도리·도하리를 병합하여 좌위리(佐位里)로, 대성면의 정동리·내덕리·건상리와 서흥군 구포면의 구정리를 병합하여 상덕리(上德里)로, 대성면의 월연리·광수리·덕문리를 병합하여 수덕리(水德里)로, 대성면의 대촌리·철령리·미산리를 병합하여 철산리(鐵山里)로, 대오면의 상조양리와 하조양리를 병합하여 조양리(朝陽里)로, 수안면의 갈치리와 대오면의 옥원리를 병합하여 옥치리(玉峙里)로, 신계군 사지면의 산북리와 사이곡리를 병합하여 산북리(山北里)로, 신계군 사지면의 석교리와 신리를 병합하여 석교리(石橋里)로, 대오면의 사창리와 동암리 일부를 병합하여 사동리(社銅里)로, 천곡면의 평원리·유촌리·옥련리를 병합하여 평원리(坪院里)로, 천곡면의 도전리·달촌리·상구리를 병합하여 도전리(島田里)로, 천곡면의 성교리·내금리·주암리를 병합하여 성교리(星橋里)로, 천곡면의 대정리·용현리·총막리를 병합하여 용현리(龍峴里)로, 대오면의 남정리를 남사리(楠社里)로 각각 개편하여 1읍 18리를 관할하였다.

1953년에 남사리가 남정노동자구(南亭勞動者區)로, 사동리가 수안읍(遂安邑)으로 각각 승격되었으며, 원 수안읍을 석담리(石潭里)로 강등하였다. 1954년에 황해도가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도될 때 황해북도 수안군으로 되면서 용포리의 일부를 산북리에, 서평리 일부를 좌위리에, 옥치리의 일부를 도전리에, 산북리의 일부와 도전리의 일부를 용현리에, 곡산군 서촌리의 일부를 평원리에, 평원리의 일부를 곡산군 서촌리에 각각 편입하였다.

1963년에 산북리 일부와 석교리 일부를 병합하여 주경리(周耕里)를 신설하였고, 1967년에 서평리 일부와 천암리 일부를 석담리에 편입하였으며, 1972년에 석담리 일부를 수안읍에 넘겼다. 1974년에 조양리가 옥치리에 편입되면서 폐지되었으며, 1981년에 석담리 일부가 수안읍에 편입되었고, 1986년에 연산군 신락리 일부가 수안읍에 흡수되었다. 2002년 10월 현재 행정구역은 1읍(수안읍), 1구(남정노동자구), 17리(도전리, 용포리, 용현리, 산북리, 상덕리, 서평리, 석교리, 석담리, 성교리, 수덕리, 신대리, 옥치리, 좌위리, 주경리, 천암리, 철산리, 평원리)로 구성되어 있다. 수안군 소재지는 수안읍이다.
 
 
 
북한지역정보넷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개관
    - 개요
    - 자연
    - 경제
    - 교통
    - 문화
옛이름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