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관
조회할 행정구역 선택
북한지역정보넷
도,직할시
시,군,구역
동,리,읍
북한지역정보넷
- 강원도 평강군
 
행정구역관카테고리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강원도>평강군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UCI :
스크랩주소 :
내부조회수 : / 외부조회수 :
스크랩수 :
북한지역정보넷 강원도 평강군 개요
강원도 남부에 있는 군. 서부는 이천군, 북부는 세포군, 동부는 김화군, 남부는 철원군ㆍ강원도(남) 철원군과 접해 있다. 북서(옥동리)~남동(근동리) 간의 길이는 40.64km이고, 서남(금곡리)~동북(상송관리) 간의 너비는 34.24km이며, 군 면적은 788.1㎢로서 도 전체면적의 7.11%를 차지한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30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평강읍이다.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강원도 평강군 지도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강원도 평강군 지명유래
1895년에 평강현을 평강군으로 개편하였다. 군 이름 ‘평강’은 고려 때에 생긴 것이다. 1018년(고려 현종 9년)에 벌판에 강이 있는 고장이라 하여 평강(平江)이라고 쓰다가 그 후 강 ‘강(江)’자를 음이 같은 편안할 ‘강(康)’자로 바꾸어 표기하였다.
 
북한지역정보넷 강원도 평강군 역사
평강군 지역은 삼국시대에 고구려의 영토로 되어 부양현(斧壤縣) 또는 어사내(於斯內)라 하였다. 신라 경덕왕 때 광평현(廣坪縣)으로 개칭되어 부평군(富平郡)에 소속되어 있었다. 고려국이 건립된 이후 1018년(현종 9년)에 평강현(平康縣)으로 개칭되어 동주(東州)에 속하였다. 조선이 들어선 이후 강원도에 속해 있었다. 문헌기재에 의하면 1759년(영조 35년)에 읍내면(邑內面), 현내면(縣內面), 남면(南面), 초서면(初西面), 서면(西面), 목전면(木田面), 고삽면(高揷面), 유진면(楡津面) 등 8개 면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1895년에 부군제를 실시하면서 춘천부(春川府) 평강군으로 되었고, 1896년에 13도제를 실시하면서 강원도 평강군으로 되어 군내면(郡內面), 초서면, 고삽면, 현내면, 서면, 목전면, 남면, 유진면 등 8개 면을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에 초서면이 군내면에 편입되었고, 1917년에 군내면이 평강면(平康面)으로 개칭되었으며, 1923년에 평강면이 다시 군내면으로 되었다가, 1939년에 또 군내면이 평강면으로 개칭되었다. 1943년에 평강면이 평강읍(平康邑)으로 승격되었고, 광복 직후 평강읍이 다시 평강면으로 되었으며, 고삽면이 세포면(洗浦面)으로 개칭되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유진면·세포면을 세포군에, 서면의 1개 리를 철원군에 각각 편입하고 나머지 평강면·남면·현내면·목전면의 전체와 서면의 12개 리·회양군 난곡면의 5개 리를 병합하여 평강군을 구성하였는데, 이때 평강군 평강면의 복계리·상갑리·하갑리·전중리·평화리·복포리를 병합하여 평강읍(平康邑)으로, 평강군 평강면의 어룡포리·해방리를 병합하여 해방리(解放里)로, 평강군 평강면의 간리·신촌리·남양리를 병합하여 남양리(南陽里)로, 평강군 평강면의 서변리·동변리를 병합하여 구읍리(舊邑里)로, 평강군 평강면의 압동리는 압동리(鴨洞里)로, 평강군 서면의 화암삼리와 평강면의 낭월리를 병합하여 낭월리(浪越里)로, 평강군 서면의 옥동일리·옥동이리를 병합하여 옥동리(玉洞里)로, 평강군 서면의 문봉일리·문봉이리를 병합하여 문봉리(文峯里)로, 평강군 서면의 금곡일리·금곡이리를 병합하여 금곡리(金谷里)로, 평강군 서면의 정산일리·정산이리를 병합하여 정산리(定山里)로, 평강군 서면의 화암일리·화암이리를 병합하여 화암리(化巖里)로, 평강군 서면의 망일리는 망일리(望日里)로, 평강군 현내면의 송우리·백룡리를 병합하여 백룡리(白龍里)로, 평강군 현내면의 문산리·갈궁정리를 병합하여 문산리(文山里)로, 평강군 현내면의 임단리·북촌리를 병합하여 이수덕리(李壽德里)로, 평강군 현내면의 마장리와 낭하리 일부를 병합하여 낭하리(浪下里)로, 평강군 현내면의 하복리·감둔리를 병합하여 하복리(下福里)로, 평강군 현내면의 신대리·송포리를 병합하여 송포리(松浦里)로, 평강군 현내면의 이목리 일부·백천리를 병합하여 축산리(築産里)로, 평강군 현내면의 하원리·상원리를 병합하여 상원리(上元里)로, 평강군 현내면의 하주리·인각리를 병합하여 하주리(下注里)로, 평강군 현내면의 이목리 일부와 적동리를 병합하여 적동리(赤洞里)로, 평강군 현내면의 신정리는 신정리(新井里)로, 평강군 남면의 천마리·지암리를 병합하여 천암리(天巖里)로, 평강군 남면의 지촌리·달전리를 병합하여 내천리(內泉里)로, 평강군 남면의 외상리·신도리·가곡리·내상리를 병합하여 자원리(資源里)로, 평강군 남면의 중동리·학전리를 병합하여 전승리(戰勝里)로, 평강군 남면의 상송리·송현리를 병합하여 송현리(松峴里)로, 평강군 목전면의 복만리·직동리를 병합하여 복만리(福滿里)로, 평강군 목전면의 정동리·사흘리를 병합하여 정동리(鼎洞里)로, 평강군 목전면의 기산일리·기산이리를 병합하여 기산리(箕山里)로, 평강군 목전면의 중삼리는 중삼리(中三里)로, 평강군 목전면의 장촌리는 장촌리(墻村里)로, 회양군 난곡면의 상송관리·공동일리·공동이리를 병합하여 상송관리(上松館里)로, 회양군 난곡면의 하송관일리·하송관이리·평강군 현내면 낭하리 일부를 병합하여 하송리(下松里)로 각각 개편하여 1개 읍, 34개 리를 관할하였다.

1953년에 평강읍의 일부로 상갑리(上甲里)가 복귀되고 백룡리가 평강읍에, 평강읍 일부가 구읍리에 편입되어 1개 읍, 34개 리를 관할하였다. 1954년에 적동리 일부와 축산리 일부를 병합하여 이목리(梨木里)를 복귀하였고, 적동리 일부와 하복리 일부가 신정리에, 하복리 나머지 일부가 문산리에, 적동리 일부가 상원리에, 축산리 일부가 송포리에, 망일리가 옥동리에, 송현리가 압동리와 천암리에 각각 편입되었다.

1961년에 원 평강읍이 복계리(福溪里)로 되면서 구읍리가 평강읍(平康邑)으로 승격되었고, 이목리가 세포군에 이관되어 1개 읍, 29개 리를 개편 관할하였다. 1963년에 남양리 일부로 봉래리(蓬萊里)를 신설하였고, 1965년에 복계리 일부가 상갑리와 평강읍에 각각 편입되었으며, 자원리 일부를 가곡리(佳谷里)로 개편하였다. 1971년에 상원리가 문산리에 편입되면서 폐지되었고, 1984년에 장촌리가 장촌노동자구(墻村勞動者區)로 승격되었으며, 1985년 3월에 문산리 일부가 다시 분리되어 평강군 상원리로 개편되어 1개 읍, 1개 노동자구, 30개 리를 관할하였다.

2001년 1월 27일 정령에 의하여 장촌노동자구, 복만리, 정동리, 송포리, 기산리, 중삼리가 세포군에 이관되었고, 김화군의 탑거리(塔距里), 성산리(城山里), 건천리(乾川里), 수태리(水泰里), 근동리(近東里)가 편입되었다. 2003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평강읍), 30리(가곡리, 건천리, 근동리, 금곡리, 남양리, 내천리, 낭월리, 낭하리, 이수덕리, 문봉리, 문산리, 복계리, 봉래리, 상갑리, 상송관리, 상원리, 성산리, 수태리, 신정리, 압동리, 옥동리, 자원리, 전승리, 정산리, 천암리, 탑거리, 하송리, 하주리, 해방리, 화암리)로 구성되어 있다. 평강군 소재지는 평강읍이다.
 
 
 
북한지역정보넷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개관
    - 개요
    - 자연
    - 경제
    - 교통
    - 문화
옛이름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