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관
조회할 행정구역 선택
북한지역정보넷
도,직할시
시,군,구역
동,리,읍
북한지역정보넷
- 함경북도 회령시
 
행정구역관카테고리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함경북도>회령시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UCI :
스크랩주소 :
내부조회수 : / 외부조회수 :
스크랩수 :
북한지역정보넷 함경북도 회령시 개요
함경북도의 북부 두만강연안에 위치해 있는 시. 서쪽은 무산군, 남쪽은 부령군ㆍ청진시 청암구역, 동쪽은 경흥군ㆍ경원군ㆍ온성군과 접해 있으며 북쪽은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 동북지방과 마주하고 있다. 남서(용천리)~북동(굴산리) 간 거리는 64km이고, 북서(덕흥리)~남동(창태리) 간의 거리는 32km이며, 면적은 1,750여 ㎢로서 도 전체면적의 10% 이상을 차지한다. 현재 행정구역은 19동 28리로 되어 있다.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함경북도 회령시 지도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함경북도 회령시 지명유래
1434년에 처음으로 회령이라는 지명이 생겼는데 이 고장 이름인 오음회에서 ‘회’자를 따고 방어진인 영북진에서 ‘영’자를 따서 회령이라 하였다. 영북진의 ‘영’자는 ‘령’으로도 쓰였다. 영북진은 당시 석막(오늘의 부령일대)에 있었는데 진이 설치되면서 북쪽 오랑캐들의 남침으로 소란하던 형국이 안정되었다 하여 유래된 것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회령은 오음회, 알목하, 오산, 회산이라 하였는데, 중국에서 간행한 『청조실록』에는 회령을 알목하, 악모휘, 아막혜라 한다고 기록되었다. 고려시기에는 오산ㆍ회산이라 하였는데 산이 자라형국을 하였다 하여 오산, 오음회에서 ‘회’자를 따고 메 ‘산(山)’자를 따서 회산이라 하였다. 오음회, 오산, 회산은 모두 지형에 따라 명명한 지명이다.
 
북한지역정보넷 함경북도 회령시 역사
회령시 지역의 오동유적과 거문개봉유적에서 청동기시대의 유물이 출토된 것과 인접한 여러 지역에서 구석기시대로부터 신석기시대에 이르는 다량의 유물들이 발굴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원시시대에 사람이 살았던 것이 분명하다.

역사문헌에 따르면 고대사회 수백 년에 걸쳐서 숙신(肅愼), 읍루(挹婁), 예맥(濊貊), 옥저(沃沮), 부여(扶餘), 말갈(靺鞨) 등 부족국가들이 판을 치고 있었고, 삼국시대에 들어서서는 고구려의 영역에 속해 있었다. 고구려가 신라와 당나라에 의해 패망한 뒤에는 당나라의 판도로 되었으며 699년 발해국 개국에 이르러 발해 동경용원부(東京龍原府)에 소속되었다. 발해가 거란에 의해 패망한 후 회령시 지역은 수세기 동안 줄곧 이민족에게 예속되어 있었다. 특히 회령시 지역은 오랫동안 여진족의 손아귀에 들어 있었다.

조선왕조가 들어서면서 1398년(태조 7년)에 두만강하구에 경원부(慶源府)를 설치하였는데, 그 후 여진의 침입으로 경성부(鏡城府)로 옮겨졌다. 1434년에 6진이 개척되면서 이곳에 성보를 두고 영북진절제사(寧北鎭節制使)가 겸하여 관할하게 하다가 와무허(斡木河)에 별도로 진을 두고 처음으로 회령이라 칭하고, 그 해 가을에 회령도호부(會寧都護府)로 승격시켰다.

1895년(고종 32년)에 지방행정구역 개편 시에 경성부 회령군(會寧郡)으로 되어 부남(府南), 공북(拱北), 대덕(大德), 영유(永綏), 운두(雲頭), 봉의(鳳儀), 풍산(豊山), 영산(靈山), 관해(觀海), 용성(龍城), 신흥(新興), 창효(彰孝), 옹희(雍熙), 인계(仁溪), 원산(元山) 등 15개 사를 설치하였다. 1896년에 다시 13도제를 실시하면서 함경북도 회령군으로 되었으며 15개 사가 면으로 개편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에 공북면(拱北面)·부남면(府南面)과 대덕면(大德面)·창효면(彰孝面)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회령면(會寧面)을, 영유면(永綏面)과 대덕면 일부를 병합하여 벽성면(碧城面)을, 풍산면(豊山面)·영산면(嶺山面)·대덕면 일부를 병합하여 창두면(昌斗面)을, 용성면(龍城面)·신흥면(新興面)을 병합하여 용흥면(龍興面)을, 옹희면(雍熙面)·인계면(仁溪面)을 병합하여 화풍면(花豊面)을, 창효면 일부와 원산면(元山面)을 병합하여 팔을면(八乙面)을 각각 신설하여 회령, 벽성, 운두, 봉의, 창두, 용흥, 화풍, 팔을 등 8개 면을 관할하였다.

1939년에 회령면을 읍으로 승격하였고 운두면과 봉의면을 병합하여 보을면(甫乙面)으로 개편하여 광복 전까지 1읍(회령), 6면(보을, 벽성, 용흥, 창두, 팔을, 화풍), 43동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949년 행정구역 개편 시에 회령읍(會寧邑)이 면으로 강등되면서 7개의 면을 관할하다가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전 회령군 회령면·창두면·화풍면의 전체 리와 팔을면의 5개 리, 벽성면의 4개 리, 부령군 서상면의 1개 리, 종성군 남산면의 2개 리를 통합하여 회령군을 구성하여 회령면의 삼일리·오동리·성천리·오산리·동명리와 팔을면 창효리 일부를 병합하여 회령읍(會寧邑)을 신설하고 벽성면의 덕흥리와 서촌리를 병합하여 덕흥리(德興里)로, 창두면의 창두리와 풍산리를 병합하여 풍산리(豊山里)로, 창두면의 무산리와 부령군 서상면의 신명리를 병합하여 무산리(茂山里)로, 창두면의 창태리·영산리·종암리를 병합하여 창태리(蒼苔里)로, 팔을면의 원산리와 영천리를 병합하여 원산리(元山里)로, 화풍면의 인계리와 신금생리를 병합하여 인계리(仁溪里)로, 화풍면의 학포리와 종성군 남산면의 방원리 일부를 병합하여 학포리(鶴浦里)로, 종성군 남산면의 세천리와 신천리를 병합하여 세천리(細川里)로, 벽성면의 대덕리와 회령면의 요동리를 병합하여 대덕리(大德里)로, 팔을면의 창효리 일부를 분리하여 창효리(彰孝里)로, 회령군 벽성면의 오봉리를 회령군 오봉리(五鳳里)로, 회령군 팔을면의 금생리를 회령군 금생리(金生里)로, 회령군 화풍면의 궁심리를 회령군 궁심리(弓心里)로, 회령군 화풍면의 사을리를 회령군 사을리(沙乙里)로, 회령군 팔을면의 신흥리를 회령군 신흥리(新興里)로, 회령군 회령면의 망양리를 회령군 망양노동자구(望陽勞動者區)로 각각 개편하여 1읍(회령), 1구(망양), 15리(오봉, 덕흥, 풍산, 무산, 창태, 창효, 금생, 원산, 인계, 궁심, 사을, 학포, 세천, 신흥, 대덕)를 관할하였다.

1953년에 덕흥리 일부가 유선군(遊仙郡) 영수리(永綏里)에 편입되었고, 1954년 10월에 세천리가 세천노동자구(細川勞動者區)로, 1961년 5월에 궁심리가 궁심노동자구(弓心勞動者區)로 각각 승격되었고, 1974년에 유선군이 회령군에 흡수되면서 유선읍이 유선노동자구(遊仙勞動者區)로 강등되었으며 종성군의 낙생리(洛生里), 행영리(行營里), 방원리(防垣里), 굴산리(窟山里), 중봉노동자구(仲峯勞動者區)가 회령군에 이관되었다.

1989년 7월에 회령읍 일부 지역과 대덕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남문노동자구(南門勞動者區)를, 금생리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수북노동자구(水北勞動者區)를 각각 신설하였으며 1991년 7월에 회령군을 회령시로 승격시키면서 회령읍을 오산덕동(鰲山德洞)·성천동(城川洞)·역전동(驛前洞)·동명동(東明洞)으로, 유선노동자구를 유선동(遊仙洞)·계림동(鷄林洞)·보을동(甫乙洞)으로, 남문노동자구를 남문동과 산업동(産業洞)으로, 세천노동자구를 세천동과 신천동(新川洞)으로 각각 분리 개편하였으며, 수북노동자구를 수북동으로 개편하고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칠월팔일동을 신설하였으며, 오봉리 일부와 덕흥리 일부를 병합하여 강안동(江岸洞)과 새마을동으로 각각 개편하였다. 동시에 망양노동자구를 망양동(望陽洞)으로, 궁심노동자구를 궁심동(弓心洞)으로, 중봉노동자구를 중봉동(仲峯洞)으로 각각 강등시켰으며 1992년 12월에 대덕리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중도동(中島洞)을 신설하였다.

2002년 현재 행정구역은 19동(강안동, 계림동, 궁심동, 남문동, 동명동, 망양동, 보을동, 산업동, 새마을동, 성천동, 세천동, 수북동, 신천동, 역전동, 오산덕동, 유선동, 중도동, 중봉동, 칠월팔일동), 28리(계상리, 계하리, 굴산리, 금생리, 남산리, 대덕리, 덕흥리, 낙생리, 용천리, 무산리, 방원리, 벽성리, 사을리, 성동리, 성북리, 송학리, 신흥리, 영수리, 오류리, 오봉리, 원산리, 인계리, 창태리, 창효리, 풍산리, 학포리, 행영리, 홍산리)로 되어 있다.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황제골무덤 국가지정문화재 보존급 제1471호
황제골무덤 국가지정문화재 보존급 제1471호
스크랩하기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황제골무덤 국가지정문화재 보존급 제1471호
영수리 무덤 국가지정문화재 보존급 제1469호
 
1 /1 ( 현 페이지 / 총 페이지 )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개관
    - 개요
    - 자연
    - 경제
    - 교통
    - 문화
옛이름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