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관
조회할 행정구역 선택
북한지역정보넷
도,직할시
시,군,구역
동,리,읍
북한지역정보넷
- 함경북도 명간군
 
행정구역관카테고리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함경북도>명간군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UCI :
스크랩주소 :
내부조회수 : / 외부조회수 :
스크랩수 :
북한지역정보넷 함경북도 명간군 개요
함경북도 남부 동해연안에 위치해 있는 군. 북쪽은 어랑군, 서쪽은 길주군, 남쪽은 명천군과 접해 있으며 동쪽은 동해에 면해 있다. 동서(삼포리~부화리) 간 길이는 55km이고, 남북(청룡리~화룡리) 간 길이는 27km이며, 면적(섬 포함)은 1,117㎢로서 도 전체면적의 6.99%를 차지한다. 현재 행정구역은 1읍 3구 22리로 되어 있으며 군 소재지는 명간읍이다.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함경북도 명간군 지도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함경북도 명간군 지명유래
김일성 주석이 군을 대규모의 화학공업기지로 부상시키는데 공헌을 하였다 하여 1981년 10월 군이름을 명간군이라 개칭하였다. 1952년 군이 신설될 때에는 영안군(永安郡)이라 하였는데, 군이름 영안은 1932년 일본의 한 재벌이 흥남비료공장 분공장인 질소비료영안공장을 건설하면서부터 생겼다. 비료공장 공장주의 성씨가 나가야스(永安)였기에 분공장을 영안(永安)공장이라 하였는데, 이 고장도 따라서 영안이라 부르게 되었다. 1967년에 명간천을 낀 군이라는 뜻에서 다시 명간군으로 개칭하였는데, 명간은 ‘천호장(벼슬이름)’을 뜻하는 ‘밍간’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지난날 이 고장에 천호장이 있었음을 나타낸다.
 
북한지역정보넷 함경북도 명간군 역사
명간군 지역의 화룡리에서 도룡봉원시유적이 발굴된 것으로 보아 원시사회에 이미 사람이 살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주변의 경성군과 청진지역에서 발굴된 신석기시대의 빗살무늬토기, 뗀석기 등 유물들이 유력한 증거로 되고 있다. 『사기』에 의하면 기원전의 여러 세기동안 숙신(肅愼), 읍루(挹婁), 예맥(濊貊), 옥저(沃沮), 부여(扶餘) 등 부족국가가 명간군 지역에서 흥망성쇠를 거듭하였으며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의 판도에 들어 있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일시간 당나라에 예속되어 있다가 발해국 영역에 편입되었다. 고려 초기 발해가 멸망한 뒤 명간군 지역은 여진의 관하에 있었다. 1107년(예종 2년)에 윤관(尹瓘)이 대군을 이끌고 북벌에 나섰을 때 명간군 지역은 2년여 세월동안 고려의 지배 하에 있다가 다시 금나라의 속지로 되었다.

1234년(고종 21년)에 금나라가 패망하자 원나라에 예속되었다. 고려 공민왕 때 강력한 북진정책으로 명간군 지역은 다시 수복되고 길주만호부(吉州萬戶府)에 소속되었다. 1398년(태조 7년)에 북도의 행정구역을 분할할 당시 명간군 지역을 명원역(明原驛)이라 하였고 당시 길주목(吉州牧) 관하에 있었다. 1461년(세조 13년) 이시애(李施愛)의 난(亂) 평정 후 길주목이 길성현(吉城縣)으로 격하되어 영평령 이북을 경계로 절반 영지를 분리하여 명천현(明川縣)을 설치하였다.

1512년(중종 7년)에 길성현에 목사(牧使)와 판관을 두고 다시 길주목으로 승격되면서 명천현을 예속시켰다가 이듬해인 1513년에 명천현을 복귀시켰다. 1517년(중종 12년)에 명천읍성을 축조하고 1605년(선조 38년)에 명천부로 승격되었다.

1895년(고종 32년)에 갑오경장으로 지방행정 개편이 시행되면서 경성부(鏡城府) 명천군으로 되어 현재 하우리 지역에 군 소재지 읍내동(邑內洞)을 두고 하우(下雩), 상우(上雩), 아간(阿間), 상가(上加), 하가(下加), 상고(上古), 하고(下古) 등 7사를 관할하였다.

1896년(건양 1년)에 다시 13도제를 실시하면서 함경북도 명천군으로 되어 하우사를 하우면(下雩面)으로, 아간사를 아간면(阿間面)으로, 상가사를 상가면(上加面)으로, 하가사를 하가면(下加面)으로, 상고사를 상고면(上古面)으로, 하고사를 하고면(下古面)으로, 상우사를 상우북면(上雩北面)과 상우남면(上雩南面)으로 각각 개편하여 8개 면을 관할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에 경성군의 동면(東面)과 서면(西面)을 흡수하여 10개 면을 관할하였다.

1937년에 군 소재지가 하우리로부터 오늘의 명간군 용반노동자구(龍蟠勞動者區)에 천이되었고, 광복 직후에 상우북면과 상우남면이 각각 북면과 남면으로 개칭되었다. 당시 군은 오늘의 명천군, 명간군, 화대군의 넓은 지역을 차지하고 있었다.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명천군 북면·하우면·서면의 전체 리와 동면의 11개 리, 남면의 10개 리, 경성군 어랑면의 3개 리를 통합하여 영안군을 구성하였는데, 서면의 삼향리와 지경리 일부를 병합하여 영안읍(永安邑)을, 하우면의 노동리와 명천리를 병합하여 하우리(下雩里)를 각각 신설하고, 남면의 신설리·청룡리를 병합하여 청룡리(靑龍里)로, 남면의 규동리·부암리·측삼리를 병합하여 부암리(富岩里)로, 남면의 마전리와 상장리를 병합하여 상장리(上場里)로, 하우면의 상월리와 북면의 하월리를 병합하여 하월리(下月里)로, 북면의 용반리·하장리와 용덕리 일부를 병합하여 용반리(龍蟠里)로, 북면의 상아리·세이리와 용덕리 일부를 병합하여 용덕리(龍德里)로, 북면의 중항리·부화리와 서면의 서남리 일부를 병합하여 부화리(富禾里)로, 북면의 웅평리와 남면의 웅주리를 병합하여 웅평리(雄坪里)로, 북면의 장포리·웅점리와 서면의 서삼리 일부를 병합하여 웅점리(熊店里)로, 하우면의 용전리와 하평리를 병합하여 하평리(下坪里)로, 하우면의 석우리와 함진리를 병합하여 함진리(咸鎭里)로, 동면의 장덕리 일부와 서면의 극동리, 신창리 일부를 병합하여 극동리(極洞里)로, 서면의 평기리와 용동리를 병합하여 용동리(龍洞里)로, 서면의 입석리와 산성리를 병합하여 입석리(立石里)로, 하우면의 근동리와 명간리를 병합하여 근동리(芹洞里)로, 동면의 광암리와 수암리를 병합하여 광암리(廣岩里)로, 동면의 다진리와 삼포리를 병합하여 삼포리(三浦里)로, 서면의 우동리와 양화리를 병합하여 양화리(良化里)로, 동면의 학암리와 양천리를 병합하여 양천리(楊川里)로, 동면의 호남리와 발하리를 병합하여 호남리(湖南里)로, 동면의 신양리·용암리와 장덕리 일부를 병합하여 신양리(新楊里)로, 경성군 어랑면의 화룡리·용양리·교향리를 병합하여 화룡리(花龍里)로, 남면의 내포리와 고성리를 병합하여 고성리(古城里)로, 서면의 명남리와 고삼리를 병합하여 명남리(明南里)로, 하우면의 용산리와 서면의 지경리·신창리 각 일부를 병합하여 용산리(龍山里)로, 하우면의 백록리를 명간군 백록리(白鹿里)로, 서면의 호산리를 화성군 호산리(虎山里)로, 북면의 이평리를 화성군 이평리(梨坪里)로 각각 개편하여 1읍 29리를 관할하였다.

1953년 12월에 입석리 일부 지역이 명남리에 편입되는 동시에 명남리 일부 지역이 입석리에 편입되었고, 1954년 10월에 웅평리는 부화리에, 삼포리 일부 지역은 양화리에, 양화리 일부 지역은 명천군 황진리(黃津里)에, 용동리 일부 지역은 영안읍에 각각 편입되었으며, 1959년 2월에 이평리가 웅점리에 흡수되면서 폐지되었다. 1967년 10월에 영안군이 명간군(明澗郡)으로 개칭되면서 영안읍은 명간읍(明澗邑)으로 개칭되었고, 웅점리가 부화리에, 용산리가 백록리에 각각 편입되면서 폐지되어 1읍 25리를 관할하였다.

1972년 11월에 용반리가 노동자구로 승격되었고, 1981년 2월에 극동리가 노동자구로 승격되었으며, 1981년 10월에 명간군이 다시 화성군(化成郡)으로 개칭되면서 명간읍이 화성읍(化成邑)으로 개칭되었다. 2001년 3월 양화리가 노동자구로 승격되었다. 2006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명간읍), 3구(극동노동자구, 양화노동자구, 용반노동자구), 22리(고성리, 광암리, 근동리, 용덕리, 용동리, 입석리, 명남리, 백록리, 부암리, 부화리, 삼포리, 상장리, 신양리, 양천리, 청룡리, 하우리, 하월리, 하평리, 함진리, 호남리, 호산리, 화룡리)로 되어 있다. 명간군 소재지는 명간읍이다.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광암리누운돌 국가지정문화재 (보존급 제1492호)
광암리누운돌 국가지정문화재 (보존급 제1492호)
스크랩하기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광암리누운돌 국가지정문화재 (보존급 제1492호)
 
1 /1 ( 현 페이지 / 총 페이지 )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개관
    - 개요
    - 자연
    - 경제
    - 교통
    - 문화
옛이름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