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 가족생활풍습 > 상례와 제례풍습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UCI :
스크랩주소 :
내부조회수 : / 외부조회수 :
스크랩수 :
상례
북한지역정보넷 조상과 조문
성복제가 끝나면 조상오는 조객들을 정식으로 맞았다. 성복제를 지내기 전에는 친척은 물론 모든 조객들이 상주와 조문을 하지 못하고 집밖에 서서 곡만 하였다.

조상은 슬퍼하는 마음을 나타내는 인사이며 조문은 상제들의 슬픔을 위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상과 조문은 죽은 사람에 대한 애도의 뜻과 상제들에 대한 위로 및 방조의 뜻을 담고 있다.

조상과 조문은 조객이 영구앞에 이르러 애도의 뜻을 표하는 곡과 절, 상제들에게 하는 위로의 말, 상제들과 같이하는 밤보내기, 상가에 보내는 부조 등 여러 가지 형태로 표현되었다.

상제들은 조객이 조상을 하러 오면 곡을 하였다. 곡은 슬픔을 당했을 때 친척이나 친우, 이윗사람들을 만나면 설음이 저절로 북받치는데서 생긴 것이라고 볼수 있다. 곡에는 때식까지 건느고 가슴을 치며 우는 통곡, 설음이 북받쳐 울게 되는 애곡, 그밖에도 조객을 맞을 때 우는 예곡이 있었다. 이때에는 슬픔을 나타내기 위해 남자들은 보통 ‘어이, 어이’하였으며 여자들은 ‘애고, 애고’ 하였다. 그러나 이것이 본래의 뜻과는 달리 조선시대에는 격식화되어 조객이 찾아올 때마다 상제는 계속 서서 똑같은 곡을 하였다. 그리고 양반들은 상제를 대신하여 곡을 하게 하는 ‘곡비’까지 따로 두는 경우가 있었다.

조상하러 온 친척, 손님은 먼저 영구앞에 나가 술을 붓고 곡을 하면서 절을 하였다. 이때 상주도 엎드려서 곡을 하였는데 조객이 먼저 그치면 일어나서 맞절을 하였다. 영구앞에서의 조객의 절은 대체로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하였다. 죽은 사람이 조객보다 아랫사람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곡만 하고 절을 하지 않았다.

절이 끝나면 조객은 상주를 비롯한 상제들과 맞절을 한 다음 위로의 말을 하였는데 조객이 조문을 하면 상주가 대답하는 방법으로 하였다.

조객과 상주가 주고받는 말은 상주의 부모상인가, 남편상 또는 아내상인가, 아랫사람 또는 친척의 상인가 등에 따라 일정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조객은 보통 “얼마나 망극하겠습니까?”, “이렇게 갑자기 상사를 당할줄 몰랐습니다” 등 슬픔을 같이하는 뜻의 인사말을 하였다. 이때 상주는 “망극할뿐입니다”, “오직 슬플따름입니다” 등의 간단한 말로 답례를 하였다.

조상에는 남녀차이가 있었다. 여자가 죽었을 때에는 친척이나 가까운 사이가 아니면 상제들과 위로의 말만 하고 영구앞에 나가 조상을 하지 않았다. 그리고 여자들은 친척이 아니면 조상을 가지 않았다. 그것은 남존여비사상이 상례에 미친 후과였다.

친척과 이웃들은 조상과 조문을 하였을뿐 아니라 상갓집에서 상제들과 함께 밤을 보내며 일손을 도와주었다. 이것은 병간호와 조상오는 손님맞이로 피로한 상제들을 도와주며 가까운 사람이 죽은 것으로 하여 느끼게 되는 상제들의 고독감을 덜어주기 위한데서 생긴 미풍양속이었다.

친척과 이웃들은 상갓집에 쌀이나 돈 또는 그밖에 상사에 필요한 물건으로 부조를 하였는데 동리에서는 대체로 팥죽을 쑤어다가 주었다. 상갓집에 팥죽을 쑤어 가져가는 것은 상사를 당한 사람들이 슬픔에 잠겨 자체로 음식을 끓여먹지 못하는 것을 도와주려는 데서 생긴 미풍양속이었다.

또한 여기에는 상제들이 목이 메여 밥과 같이 굳은 음식은 잘 먹을수 없지만 죽은 먹을수 있다는 뜻도 담겨 있었다. 그러나 ‘귀신’이 팥을 싫어하기 때문에 귀신을 쫓기 위해 팥죽을 쑤어간다고 하는 미신적인 관념도 있었다. 이러한 풍습은 상갓집에 죽을 쑤어다 주는 것이 필요한 일이었으므로 이웃이 꼭 그렇게 도와주도록 하려는 것을 선전하게 된데서 퍼졌다고 보인다.
 
 
 
북한지역정보넷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식풍습
옷차림풍습
주택생활풍습
가족생활풍습
    - 가족구성과 변천
    - 가족원들의 관계와풍습
    - 친척과 동족집단
    - 혼인풍습
    - 출생과이름짓기·돌맞이
    - 상례와 제례풍습
    - 장법과 무덤형식
    - 제례
    - 가정예절
    - 가족생활의 계승발전
노동생활풍습
민속명절
민속놀이
민속음악
민속무용
구전문학
민속공예
북한지역정보넷 tip 북한지역정보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