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 민속음악 > 민속음악의 역사개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UCI :
스크랩주소 :
내부조회수 : / 외부조회수 :
스크랩수 :
원시음악의 발생발전
고대의 민속음악
근대의 민속음악
북한지역정보넷 민속가요
조선시대 민속가요발전에서 커다란 의의를 가진 것은 우리의 민족글자인 훈민정음의 창제와 새로운 악보인 정간보의 창제에 의하여 전통적인 민속가요들이 수집정리 된 것이었다. 조선 전반기 민속가요에 대한 수집정리사업은 1433년, 1477년, 1511년, 1529년의 네차례에 걸쳐 국가적인 사업으로 진행되었다.

조선 전반기에 수집정리하여 이용한 대표적인 민속가요, 향악곡들로서는 ‘동동’, ‘정읍’, ‘사모곡’, ‘서경별곡’, ‘쌍화점’, ‘정석가’, ‘청산별곡’, ‘별곡조’(비두로기), ‘가시리’(귀호곡), ‘상저가’, ‘정과정’(진작), ‘만전춘’, ‘한림별곡’, ‘거사련’, ‘오관산곡’, ‘나례가’, ‘봉황음’(처용가), ‘보허자’, ‘영산회상’, ‘여민락’ 등을 들 수 있다.

조선시대에 수많이 창작된 민요가운데서 첫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노동요였다. 이 시기에 창작보급된 노동요에는 ‘농부가’, ‘밭가는 소리’·‘김매는 소리’ 등 농민들의 농사일과 관련된 노동요, ‘어부가’, ‘노젓는 소리’, ‘그물당기는 소리’ 등 어부들의 고기잡이와 관련된 어업노동요, ‘망치질소리’, ‘풍구질소리’, ‘방아타령’, ‘베짜는 소리’ 등 수공업노동을 반영한 민요, ‘달구소리’, ‘목도소리’, ‘나무꾼소리’ 등 토목, 임업 노동을 반영한 민요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조선시대에는 또한 세태민요들이 수많이 창작보급되었다. 이 시기에 창작보급된 대표적인 세태민요에는 ‘양산도’, ‘영변가’, ‘금강산타령’ 등 아름다운 조국산천에 대한 사랑의 감정이 담겨진 민요와 ‘느리개타령’, ‘창부타령’, ‘아리랑’, ‘사랑가’ 등 도시서민층의 자유분방한 생활정서와 남녀간의 사랑을 반영한 민요, ‘시집살이’, ‘권마성’, ‘돈돌라리’, ‘놋다리밟이’ 등 우리 민족의 생활풍속과 민속놀이를 반영한 민요 등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또한 불합리하고 모순에 찬 사회의 현실과 반침략반봉건투쟁을 반영한 사회정치민요들도 많이 창작되었다. 이 시기에 창작보급된 대표적인 참요로서는 ‘남산요’, ‘구맥요’, ‘운흥요’, ‘망말다요’, ‘으로고요’, ‘수먹먹요’, ‘사모요’, ‘사월요’, ‘병자란요’, ‘연주문요’, ‘미나리요’, ‘이경화요’, ‘간드렁요’, ‘길주양반’, ‘양반’, ‘징금타령’ 등을 들수 있다. 반침략반봉건투쟁을 반영한 대표적인 민요로서는 ‘쾌지나 칭칭 나네’, ‘강강수월래’, ‘정방산성가’, ‘연줄가’, ‘의암이’, ‘다복골요’, ‘홍경래란요’ 등을 들 수 있다.

조선시대 민속가요발전에서 주요한 자리를 차지한 것은 ‘잡가(雜歌)’이다. 잡가는 17세기 후반기 이후에 급격히 장성한 도시서민층과 직업적인 민간예술인들의 사상미학적 요구와 생활정서에 바탕을 두고 새로 발생한 가요이다. ‘잡가’는 가요의 한 형태를 규정하는 종류적 개념인 것이 아니라 시조, 가곡, 가사와 같은 ‘정가(正歌)’에 대칭되는 말로서 도시와 농촌에서 많이 불려지던 대중화된 노래의 총칭이었다. 그러므로 잡가에는 긴잡가, 단가, 판소리, 사거리, 속요 등 모든 형태의 노래들이 다 포함되고 있다.

긴잡가와 단가는 18~19세기에 이르는 동안 지방적 특성을 띠면서 서도긴잡가, 경기긴잡가, 남도단가라는 잡가의 기본유형으로 되었다. 그 대표적인 작품으로서는 서도긴잡가인 ‘배따라기’, ‘공명가’, ‘초한가’, ‘수심가엮음’, 경기긴잡가인 ‘유산가’, ‘선유가’, ‘소춘향가’, ‘십장가’, ‘형장가’, ‘제비가’, 남도단가인 ‘고고천변’, ‘만고강산’, ‘죽장망혜’, ‘새타령’, ‘춘향이별가’, ‘육자배기’, ‘토끼타령’, ‘성주풀이’ 등을 들 수 있다.
 
 
 
북한지역정보넷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식풍습
옷차림풍습
주택생활풍습
가족생활풍습
노동생활풍습
민속명절
민속놀이
민속음악
    - 민속음악의 역사개관
    - 민요
    - 동요
    - 민족악기
    - 민간기악곡
    - 민속극음악
    - 민간음악단
    - 민속음악의 계승발전
민속무용
구전문학
민속공예
북한지역정보넷 tip 북한지역정보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