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 민속무용 > 민속무용의 역사개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UCI :
스크랩주소 :
내부조회수 : / 외부조회수 :
스크랩수 :
원시무용의 발생발전
고대의 민속무용
중세의 민속무용
근대의 민속무용
북한지역정보넷 고대의 민속무용
고대의 민속무용은 해마다 진행한 민속행사와의 연관 속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발전하였다. 이미 원시시대로부터 춤과 노래를 즐겼던 우리 선조들은 고대에 이르러 자기들의 근면한 노동생활과 민속행사를 통하여 민속가무를 더한층 발전시켜 나갔다.★

고대에는 민속가무와 함께 농악무도 발전하였다. 고대사람들이 연중행사로 진행한 민속가무놀이는 하나의 생활관습으로 굳어지게 되었는데 그 일부는 농악무의 형태였다. 특히 고대 진국사람들이 5월과 10월에 진행한 민속행사때 춘 춤은 북, 꽹가리와 같은 타악기도 이용한 농악무의 형태였다. 그것은 우선 당시의 기록에 “춤은 수십명이 함께 일어서서 서로 뒤따르면서 땅을 구르고 추는데 손발의 움직임이 잘 조화되었다. 그 절주는 ‘탁무’와 비슷하였다”고 한 것으로써 잘 알 수 있다. 여기서 ‘탁무’는 무용수들이 손에 ‘탁’(큰 방울)을 쥐고 추는 춤 또는 무곡을 말한다. 고대 진국사람들이 추는 춤이 손발의 움직임이 잘 조화되어 탁무와 같은 절주(節奏 ; 음악곡조의 꺾이는 마디)로 되어 있었다고 한 것은 그것이 율동적인 농악무의 형태였다는 것을 말해준다.

고대에는 전투생활을 반영한 민속무용인 ‘창춤’도 있었다. 기원전 2000년기 말에 지었다는 『주례』의 기록에 의하면 주나라의 매사(?師)라는 관리는 ‘매악(?樂)’을 주관하였는데 궁중제사와 연회때 사 1명과 무용수 16명을 거느리고 ‘동이지무’를 추도록 하였으며 ‘매악’은 16명의 춤꾼과 이에 따르는 40명의 인원이 긴창을 휘두르면서 춤추는 군무였다고 하였다. 이 자료를 통하여 고대 조선사람들이 창조한 민속가무 ‘창춤’은 이웃나라에 전해져서 ‘동이지무’, ‘매악’으로 알려졌으며 당시 전문적인 춤꾼들이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대에 창조된 민속무용에는 이밖에도 고조선사람들이 춘 ‘호랑이춤’과 진국사람들이 즐겨 춘 ‘거북이춤’이 있었다.

『삼국지』에 고조선사람들은 “호랑이를 신으로 삼아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러한 호랑이 제사 때 추어진 춤이 바로 탈춤인 ‘호랑이춤’이었다고 할 수 있다. 후세의 북청사자놀이에 나오는 호랑이탈은 바로 고대시대의 ‘호랑이춤’에 나오는 호랑이탈에 연원을 두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고대의 ‘거북이춤’은 진국 유민들인 가야 사람들이 수로왕을 추대할 때 구지봉에 올라가 흙을 한줌씩 쥐고 ‘영신가’(구지가)를 부르면서 즐겨 춘 무용이었다
 
 
 
북한지역정보넷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식풍습
옷차림풍습
주택생활풍습
가족생활풍습
노동생활풍습
민속명절
민속놀이
민속음악
민속무용
    - 민속무용의 역사개관
    - 노동생활무용
    - 전투생활무용
    - 세태생활무용
    - 민간탈춤
    - 민속무용의 계승발전
구전문학
민속공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