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 민속공예 > 도자기공예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UCI :
스크랩주소 :
내부조회수 : / 외부조회수 :
스크랩수 :
고려자기
조선자기
북한지역정보넷 고려자기를 굽던 가마의 구조 
고려도자공들은 가마쌓기와 소성기술에서 특이한 방법을 고안해냈다. 그들은 우선 자기를 굽는 가마터를 옳게 선정하는데 큰 관심을 돌렸다. 지금까지 알려진 고려자기의 이름난 가마터들을 보면 보통 질좋은 흙이 있는 곳, 땔나무가 풍부한 곳, 수질이 좋은 곳, 바람부는 방향이 일정한 곳, 그리고 교통운수에 편리한 곳에 자리잡고 있었다.

황해남도 봉천군의 원삼리, 봉암리에서는 고려 전반기에 비색청자를 구워내던 가마터가 알려졌고 옹진군의 은동리에서는 후반기에 상감청자를 구워내던 가마터가 발견되었다. 가마들이 땅바닥을 경사지게 깊이 파고 궁류천장으로 처리한 것은 모두 공통적이다. 원산리 1호가마는 길이가 9.69m이고 가마바닥의 제일 넓은 곳의 너비는 2.4m이고 아궁이가 있는 불칸, 가마칸, 굴뚝으로 이루어져 있다. 2호가마에는 특징적인 것은 가마칸이 통간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봉암리 자기가마는 총길이 44m, 너비 95cm, 천장높이 1m 정도이며 직선경사면의 경사높이는 7m 정도이다. 가마바닥에는 5cm정도의 모래를 깔았고 2.2~2.3m의 간격으로 간벽을 막아 17개의 칸을 만들었다.

매 칸마다 보조아궁이가 있는데 그것은 자기와 갑자를 넣고 꺼내는 매 칸의 출입구이기도 하였다. 또한 매 칸 벽밑에 너비 15cm 정도의 작은 구멍 4개를 냈는데 이것은 가마내부의 균등한 열을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이다. 만약 이런 구멍이 없이 간벽으로만 연기나 화기가 빠져나가면 자기는 충분한 열을 받지 못하게 된다.

천장이 낮은 이러한 가마에서 환원불꽃을 원만히 유지하여야만 질좋은 자기를 구워낼 수 있었던 것이다. 한편 고려 후반기의 가마는 이와는 구조가 좀 달랐다. 온동리에서는 2개의 가마터가 발굴되었는데 그중 하나는 2개의 곬을 가진 것이고 다른 하나는 1개의 곬을 가진 것이다. 앞의 것은 원래 있던 가마에 하나를 덧붙여 만든 것이다. 온동리 가마에서 특징적인 것은 가마천장이 사람 키보다 높고 바닥너비가 하단에서는 1.7~1.8m, 상단부분에서는 1.2~1.3m로서 비교적 넓은 것이다.

원산리와 봉암리, 은동리 가마들의 차이점은 원산리의 것이 통간으로 되고 봉암리 가마는 17개의 작은 칸으로 구분되었으며 은동리 가마는 진흙으로 축조되고 1.5m 정도의 폭과 천장높이를 가졌으며 칸수가 훨씬 적은 것이다. 또한 자기를 굽는 방법에서도 원산리 가마와 봉암리 가마에서는 대와 구슬(그릇사이에 놓는 구슬)과 함께 갑자를 사용하였으나 은동리 가마에서는 갑자를 쓰지 않고 대와 흙구슬만으로 자기를 구워냈다. 은동리 가마에서는 구을 때 맨 앞에 원통형받침대를 놓고 그 위에 자기를 여러 층으로 쌓아 구운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고려 후반기에 비색청자보다 장식무늬가 많은 청자기들은 갑자를 쓰지 않고 구웠다.
 
 
 
북한지역정보넷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식풍습
옷차림풍습
주택생활풍습
가족생활풍습
노동생활풍습
민속명절
민속놀이
민속음악
민속무용
구전문학
민속공예
    - 도자기공예
    - 나무공예
    - 금속공예
    - 나전옻칠공예
    - 수예
    - 죽공예
    - 화각공예
    - 돌공예
    - 초물공예
    - 종이공예
    - 기타공예
    - 민속공예의 계승발전
북한지역정보넷 tip 북한지역정보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