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유물유적정보 > 유적 > 사찰·사당
UCI :
G001+KR00-IPA.081208.D0.TDR010500009867
스크랩주소 :
http://www.cybernk.net/infoText/InfoRelicDetail.aspx?mc=DR0104&sc=A405200&tid=DR010500009867
내부조회수 :
901
/ 외부조회수 :
30
스크랩수 :
0
명적사(明寂寺)
카테고리 :
유적
주제 :
사찰.사당
분류 :
절
등급 :
국보급
시대 :
조선
행정구역 :
강원도>원산시
표제구분 :
국가지정문화재국보급 제105호
명적사(국보급 제105호) 대웅전
강원도 원산시 영삼리에 있는 절. 신라 때 처음 세우고 조선시대에 개축하였다. 지금 있는 건물은 1771년에 다시 짓고 1896년에 크게 보수한 것이다. 명적사에는 현재 대웅전과 심검당이 남아 있다. 대웅전은 정면 3칸(11m), 측면 3칸(7.8m)이며 높이 1m의 밑단 위에 서 있다. 다듬은 주춧돌 위에 세운 흘림기둥들은 가운데칸에서는 넓게, 좌우칸에서는 그보다 좀 좁게 배치되었다. 기둥 위에는 바깥 7포, 안 9포의 아름다운 두공을 올렸다. 잎이 달린 연꽃봉우리를 형상한 제공과 첨차는 치밀하게 맞물렸다. 두공 위에 올린 봉황새와 용대가리 조각은 섬세하고 세련되었다.
두공사이벽의 장여 밑에는 작은 연꽃조각을 붙여놓았다. 겹처마합각지붕의 완만한 곡선과 날아갈 듯한 모습은 몸체와 잘 어울린다. 명적사는 문짝의 꽃무늬가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가운데칸의 문짝에는 연꽃무늬와 매화꽃무늬를, 양옆칸의 문짝에는 각각 모란꽃과 국화 무늬를 새겼다. 서로 다른 꽃무늬로 아로새겨진 문짝들은 마치 아름다운 꽃비단을 드리운 듯하다. 천장의 측보에는 살아 움직이는 듯한 용대가리조각을 얹었고 부재마다 아름다운 모루단청을 입혔다. 명적사는 당시 북한의 건축술, 특히 조선중기건축술을 보여주는 건축유산으로서 민족문화연구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명적사는 현재 국보급 유적으로 잘 보존관리 되고 있다.
검색 결과
제목
지정번호
조회수
번호
제목
행정구역
지정번호
시대
조회수
124
개심사(開心寺)
함경북도>명천군
국보급 제120호 ...
통일신라
2496
123
영명사불감(永明寺仏龕)
평양시>모란봉구역
국보급 제148호 ...
삼국
2245
122
석왕사(釋王寺)
강원도>고산군
국보급 제94호 ...
조선
2194
121
광제사(光濟寺) 대웅전
함경남도>북청군
국보급 제150호 ...
조선
1909
120
유점사터(楡岾寺~)
강원도>고성군
보존급 제1719호...
통일신라
1881
119
성불사(成佛寺)
황해북도>사리원시
국보급 제87호 ...
고려
1839
118
용흥사(龍興寺)
함경남도>영광군
국보급 제115호 ...
조선
1824
117
상원암(上元庵)
평안북도>향산군
국보급 제41호 ...
조선
1824
116
불영대(佛影臺)
평안북도>향산군
국보급 제43호 ...
조선
1606
115
정북사(靖北祠)
함경북도>경성군
보존급 제437호 ...
조선
1597
114
안국사(安國寺)
평안남도>평성시
국보급 제34호 ...
조선
1549
113
강서사(江西寺)
황해남도>배천군
국보급 제77호 ...
고려
1513
112
양천사(梁泉寺)
함경남도>고원군
국보급 제113호 ...
고려
1512
111
보현사(普賢寺)
평안북도>향산군
국보급 제40호 ...
고려
1395
110
속명사수조(續命寺水槽)
황해북도>서흥군
보존급 제1639호...
고려
1392
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Total
9
Page
1
2
3
4
5
6
7
8
9
텍스트
미디어
번호
제목
구분
조회수
5
명적사
터(
明寂寺
∼)
인문지리정보
1
4
명적사
(
明寂寺
)
유물유적정보
3
명적골(明寂∼)
자연지리정보
1
2
명적고개(明寂∼)
자연지리정보
1
1
절골[명적골]
자연지리정보
1
검색된 결과가 없습니다.
1
선택해주세요
재외동포재단
중앙일보북한네트워크
한국정보화진흥원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저작권정책
개인정보보호정책
위치 및 연락처
관리자에게
배너및뷰어
[우]122-834 서울시 은평구 녹번동 161-5 역촌빌딩 5층 TEL: (02)358-0612~5 FAX: (02)384-1924
Copyrightⓒ 2008 by 평화문제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유적
유물
구조물·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