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서비스 사이트맵 열린참여관 북한지역정보넷소개관 조선향토대백과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행정구역정보관 자연지리정보관 인문지리정보관 유물유적관 인물정보관 민속문화관 멀티미디어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인기검색어
내가 찾은 단어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민속문화관 > 식풍습 > 식풍습의역사 개요
 
북한지역정보넷 북한지역정보넷
UCI :
스크랩주소 :
내부조회수 : / 외부조회수 :
스크랩수 :
원시시대의 식생활풍습
고대의 식생활풍습
삼국시대 식생활 풍습
발해및통일신라식생활풍습
고려시대식생활풍습
조선시대 식생활풍습
근대의 식생활풍습
북한지역정보넷 조선시대
조선시대에 우리 민족은 이전 시기부터 전승되어 오던 식생활풍습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역사적 조건에 맞게 더욱 발전시켰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농업을 비롯한 생산의 여러 분야에서 보다 새로운 발전이 이루어짐으로써 식료원천이 그 어느 시기보다 늘어나게 되었다. 조선시대의 주식 재료로는 이전 시기와 마찬가지로 벼와 함께 조, 피, 기장, 밀, 보리, 팥, 수수, 콩, 녹두 등이 계속 재배되어 식생활에 이용되었다. 그러나 조선시대에는 민중의 창조적인 노동에 의하여 많은 땅이 새로 개간되고 경지면적이 늘어났으며 새로운 농사도구와 영농방법이 도입되어 주식재료 생산에서 커다란 전진이 이루어졌다. 주식 재료에서 기본알곡인 벼만 놓고 보더라도 모내기법이 널리 보급되면서 종전에 비하여 생산량이 훨씬 많아져 주식재료에서 흰쌀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졌다.

조선시대의 주식재료에서 새로 재배한 것은 옥수수, 완두, 감자와 고구마 등이었다. 옥수수는 18세기경, 완두와 고구마는 18세기 중엽부터, 감자는 19세기경부터 재배되었다. 특히 감자는 함경도지방에서 재배한 지 몇 해 사이에 그것으로 1년 양식을 마련하는 농민들이 생겨날 정도로 빨리 보급되었으며 그후 남쪽 지방에서도 흉년에 알곡을 대신하는 작물로서 널리 심게 되었다.

조선시대의 부식재료로서 새로 재배된 것은 호박, 배추, 땅콩(낙화생), 고추 등이었다. 고추는 17세기, 호박은 18세기 중엽부터 재배되었으며 18세기 말~19세기 초에는 후세의 것과 같은 새로운 종자의 배추가 널리 재배되어 식생활에 이용되었다. 그밖에 종전과 같이 조선시대에도 미나리, 무, 쑥갓, 오이, 시금치, 가지, 부추, 파, 마늘 등 다양한 채소를 부식재료로 썼으며 산과 들의 야생식물도 적극 찾아내어 많은 종류의 식료원천을 마련하였다.

과일류는 그 대부분이 그 이전 시기부터 재배되어 오던 것인데 조선시대에 와서 재배법이 개선되면서 품종과 그 생산량이 늘어났다. 배만 하여도 홍리, 현리, 금생리, 대숙리 등 그 품종이 여러 가지였다. 사과는 야생 능금과는 달리 ‘굵은 능금’으로 전해졌는데 19세기 말부터 널리 재배된 것 같다.조선시대에는 또한 소, 말, 돼지, 오리, 거위를 비롯한 짐승고기를 부식재료로 썼다. 소는 조선 초기 기록에 도살하는 것을 국가적으로 금지령까지 내려 통제한 일이 있으나 18세기 후반기 기록에 소의 도살량이 지나치게 많은 것이 다시 논의된 것으로 보아 조선시대 전기간 쇠고기는 여전히 주요한 식품이었다.

부식재료로는 특히 수산물이 이전 시기보다 식생활에 널리 이용되었다. 그것은 이 시기에 조선기술과 어로도구, 어로방법이 고려시대에 비하여 한 단계 더 발전됨으로써 여러 종류의 물고기들이 많이 잡힌 데서 실증되고 있다. 특히 명태, 청어, 조기, 멸치가 사람들의 반찬에 가장 많이 쓰였다. 명태는 17세기 이래 많이 잡힌 물고기로서 생선으로뿐 아니라 절이거나 말려 여러 지역에 운반되어 반찬으로 쓰였다. 멸치도 옛기록에 의하면 많이 잡혔는데 회도 치고 말려 먹기도 하고 기름을 짜먹기도 하고 젓갈을 담가 부식으로 하거나 조미료로 쓰기도 하였다.

조미료로는 고추, 마늘, 파, 초, 기름, 꿀, 후추, 생강, 설탕 등이 더 많이 쓰였는데 특히 기름짜는 법이 더욱 발전하여 여러 가지 종류의 기름을 식용에 썼다. 『규합총서』에 의하면 참깨기름, 복숭아씨기름, 봉선화씨기름, 순무씨기름, 들깨기름, 묵은깨기름, 차조기(순형과에 붙은 풀)기름 등 식용류로 쓰인 것만도 여러 가지였다.

이와 같이 조선시대에는 우리 민족음식 조리에 필요한 음식감들이 거의 다 갖추어지게 되었으며 이에 기초하여 일상적으로 먹는 음식, 명절 때나 잔치 때에 특별히 만들어 먹는 음식, 특색있는 유명한 지방음식 등 다종다양한 음식들을 더 맛있게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조선시대에 우리의 민족음식은 이전 시기에 비하여 훨씬 발전하여 높은 수준에 이르렀다.

조선시대에도 우리 민족의 주식은 밥이고 부식은 국, 김치, 찌개였다. 주식의 가짓수가 부쩍 늘어났는데 밥만 하여도 쌀의 종류와 쌀에 다른 재료를 섞어서 지은 것까지 합하여 무려 40여 종이 넘었다. 떡 종류는 『규합총서』에 나타난 것만 보아도 60여 종에 달하였으며 『임원십육지』에는 48종이 보인다. 국수도 재료와 조리법이 발전함에 따라 그 이전 시기보다 종류가 더 많아지고 그 가운데서도 냉면의 조리법은 17세기 전반기에 일본에까지 전해져 소문이 났다.

부식인 김치는 조선시대 기록에 전해지는 것만 보아도 30여 종에 달하며 물고기음식은 『규합총서』에 25종, 고기음식은 18종을 헤아린다. 젓갈도 새우젓, 명란젓, 곤쟁이젓, 호두기젓, 조개젓, 굴젓, 멸치젓, 섭조개젓, 새우젓, 생합젓 등 여러 가지였다. 당과류는 엿, 과줄, 강정, 정과, 다식 등 그 종류가 훨씬 더 많아졌으며 음료인 술은 탁주, 청주, 소주 등으로 구분되는데 그 종류는 수십 종에 이르렀다.

조선시대에는 또한 철음식과 지방음식, 궁중음식, 의례음식이 더욱 발전하였다. 철음식은 고려시대에도 있었으나 조선시대에 와서는 그 종류가 더 많아져 기록에 전해지는 것만 보아도 매달마다 있었다. 그리하여 역사적으로 전승되어 오던 우리나라 민족음식은 조선시대에 이르러 그 특성과 우월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조선시대에는 식생활도구도 그 이전 시기보다 재료가 더 다양해지고 종류가 부쩍 늘어났다. 특히 사기그릇과 놋그릇 그리고 나전그릇이 발전하였다. 사기그릇은 백자와 청화백자가 대부분이고 고려시대에 비하여 그 종류와 형태가 더욱 다종다양해졌다. 나전 칠장식은 소반류에 많이 적용되었다. 놋그릇은 17세기~19세기 전반기에 와서 양반계층과 생활형편이 넉넉한 도시주민들 속에서 널리 이용되었다. 『경도잡지』에 “지금 풍속에 놋그릇을 소중히 여겨 사람마다 반드시 놋붙이로 밥그릇, 국그릇, 나물접시, 구이접시 등 한 질을 갖추어 놓으며 심지어는 대야와 요강까지도 놋붙이로 만든다”고 기록된 것은 당시 양반계층의 형편을 밝힌 것이다. 이 시기 놋그릇이 널리 보급된 것은 당시 우리나라에서 동광 채굴과 유기제조법이 발전하고 그에 따라 놋그릇이 상품으로 시장에서 널리 판매되었던 것과 관련된다.

금, 은, 옥으로 만든 그릇들은 부유층만이 쓸 수 있었다. 그릇 종류에서도 이전 시기부터 쓰이던 것이 많았지만 형태와 크기, 무늬장식에서 더욱 다양해졌으며 또 아전 시기에는 보이지 않던 신선로, 전골틀, 구절판, 찬합, 화기류 등 특색있는 새로운 그릇들이 많이 만들어졌다.

조선시대에는 식생활재료와 민족음식의 종류, 식생활도구와 상차림풍습, 음식조리법, 음식보관저장법에 관한 가치있는 내용들을 서술한 식생활풍습관계 책들이 후세에 전해지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우리 민족음식 종류가 이전 시기보다 더욱 많아지고 조리가공법이 가일층 발전하였다. 이리하여 역사적으로 전승되어 오던 우리의 우수한 민족음식은 조선시대에 이르러 기본적으로 완성되었다. 식생활도구도 그 종류와 형태가 다양해지고 음식조리기술이 발전하여 식생활의 문화위생수준이 더욱 확고히 보장되었다. 조선시대에도 그 이전 시기와 같이 밥을 주식으로 하고 국, 김치, 찌개를 부식으로 하는 우리 민족의 고유한 관습이 계승되었다. 그리고 하루 세끼 식사하는 것이 정상적으로 규범화되었다.

사예절에서는 사람들 속에서 부모와 웃어른을 존대하고 이웃간에 음식을 서로 나누어 먹고 손님을 후하게 대접하는 것과 같은 아름다운 풍습이 높이 발양되었다. 이렇게 조선시대에는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식생활풍습이 더욱 발전되고 풍부해졌다.
 
 
 
북한지역정보넷  
사이트링크-국가지식포털 사이트링크-행정안전부 사이트링크-한국정보문화진흥원 사이트링크-평화문제연구소 사이트링크-통일부 사이트링크-통일교육협의회 사이트링크-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이트링크-통일문제연구협의회
로고-북한인문지리넷 북한지역정보넷 로고-국가지식포털
유관기관링크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북한지역정보넷 저작권정책 북한지역정보넷 개인정보보호정책 북한지역정보넷 위치 및 연락처 북한지역정보넷 관리자에게 북한지역정보넷 배너및뷰어
식풍습
    - 식풍습의역사 개요
    - 민족음식과 식생활
    - 식생활도구와 이용풍습
    - 상차림풍습
    - 식생활관습과 식사예절
    - 식생활풍습의 계승발전
옷차림풍습
주택생활풍습
가족생활풍습
노동생활풍습
민속명절
민속놀이
민속음악
민속무용
구전문학
민속공예